
‘국가정보원의 대선·정치 개입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윤석열)은 30일 진상 규명에 필요한 증거 확보를 위해 국가정보원을 전격 압수수색했다.
서초구 내곡동에 위치한 국정원에 대한 압수수색은 이날 오전 8시50분께 시작해 오후 10시25분께까지 13시간35분 동안 진행됐다.
검찰은 윤석열 팀장과 박형철 부장검사를 포함한 검사 7명과 디지털 포렌식(과학수사) 요원 10여명 등 25명을 몇 개의 수색반으로 나눠 국정원 곳곳을 수색했다.
검찰은 직원들의 인터넷 댓글 작업을 진두지휘한 3차장실과 산하의 옛 심리정보국 사무실 등에서 내부 지시·보고 문건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원세훈 전 원장이 2009년 5월부터 올해 1월까지 내부 게시판에 올린 ‘지시·강조 말씀’과 관련해서도 서버 등에서 전산자료를 다운로드 받고 출력물을 압수했다.
심리정보국 등에 소속됐던 일부 직원의 휴대전화와 노트북 등도 확보했다.
검찰은 국정원이 압수수색에 대비해 문건을 빼돌리거나 컴퓨터 파일, 댓글 흔적 등을 삭제 또는 위·변조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수색을 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직원들의 컴퓨터 사용 및 입출력 기록이 망라된 ‘로그 파일’과 ‘소스 코드'(소프트웨어의 모든 내역을 기록한 텍스트 파일) 등을 중앙 서버에서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하드 디스크는 원본을 복제하는 형태로 압수했다.
검찰이 국정원을 압수수색한 것은 2005년 8월 ‘안기부·국정원 도청’ 사건 이후 8년만이며 사상 두번째다.
검찰은 지난해 대선을 전후해 국정원 직원들이 ‘오늘의 유머’ 등 인터넷 사이트에 정치 관련 댓글을 단 일에 원세훈 전 원장 등 지휘부가 어느 선까지 개입했는지, 댓글 작업이 정치·선거 개입 의도에서 이뤄졌는지 등을 확인할 방침이다.
검찰은 국정원 내부 게시판에 올라온 ‘원장님 지시·강조 말씀’이 어떤 배경에서 이뤄졌고 실제 댓글 작업으로 연결됐는지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상당수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관계자는 “국정원의 임의제출이 아니라 압수수색”이라고 강조하면서 “압수수색은 순조롭게 진행됐다”라고 자평했다.
앞서 검찰은 지난 29일 원 전 원장을 소환해 조사했으며 이종명 전 국정원 3차장을 27일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또 민모 전 심리정보국장은 25일 조사했다.
검찰은 압수물을 분석하는 한편 원 전 원장과 이종명 전 3차장, 민모 전 심리정보국장 등의 진술을 분석해 필요할 경우 관련자들을 한두 차례 추가 소환할 방침이다.
또 경찰이 기소 의견으로 송치한 국정원 직원들과 일반인 등 3명을 비롯해 여타 관계자에 대한 소환 조사나 특정 인물에 대한 체포 등 강제수사도 검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