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네이버·다음 ‘실시간 검색’ 사실상 부활에 우려…문체부도 가짜뉴스TF 구성


?ъ빞 3??01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 의장/사진=이병화 기자

네이버·다음의 실시간 뉴스 부활에 정부·여당이 제동을 걸고 나섰다.

네이버·카카오는 내년 4월 총선을 1년가량 앞두고 각각 트렌드 토픽과 투데이 버블 추천 서비스를 도입한다는 입장을 최근 밝혔다. 네이버의 트렌드 토픽은 지난해 9월 시범 도입했던 서비스로, 이용자 테스트를 거친 후 올 하반기 앱 첫 화면에 전면 배치된다.

정치권에선 두 회사의 추천 서비스가 과거 폐지된 실시간 검색의 부활이라며 반대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과거 여론조작 등 적지 않은 부작용을 양산했던 만큼 서비스 부활을 백지화 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14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네이버·다음 두 공룡 포털들이 ‘트렌드 토픽’ ‘투데이 버블’ 서비스를 시작했다”며 “3년 전 폐지된 ‘실검(실시간 검색)’과는 다른 서비스인냥 포장했지만 사실상 실검을 부활시키려는 꼼수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박 의장은 “3년 전 실검을 폐지할 때 했던 말들을 잊었냐”며 “실검은 인격권 침해, 가짜뉴스 유포, 기사 어뷰징 등 정치적 상업적으로 악용되면서 숱한 폐단을 낳았다”고 비판했다.

네이버의 트랜드 토픽은 하루 단위로 자사의 블로그, 영상, 뉴스 등에 많이 언급된 키워드를 추출해 이용자에게 노출하는 방식이다. 카카오는 지난 10일 포털 다음에 투데이 버블 서비스를 시작했다. 한 번에 5개의 키워드를 추천하고 해당 키워드 관련 기사와 블로그, 카페 글을 보여주는 식이다.

이런 가운데 문화체육관광부도 이날 네이버의 ‘키워드 추천’ 서비스 도입 계획에 따른 우려 및 최근 인터넷 상의 가짜뉴스 논란 등에 대한 대응을 위해 ‘가짜뉴스 퇴치 TF’를 구성하기로 했다.

‘가짜뉴스 퇴치 TF’는 △거대 뉴스 포털의 시장지배적 영향력과 사회적 책임 △기사 배열 등 알고리즘 투명성 확보 △이용자 권익 보호 및 침해 구제 △뉴스포털과 뉴스공급자와의 공정 상생 환경 조성 △여론 다양성 확보 등에 대한 제도 개선책을 논의한다.

이를 두고 문체부가 실시간 검색서비스 부활에 사실상 제동을 걸고 나선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박보균 장관은 “영향력과 파급력의 엄청난 덩치에 비해 저널리즘적 책임감은 부족하다는 여론의 부정적 시선과 국민적 불만이 확산되고 있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며 “거대 뉴스포털의 리더십들이 이런 논란에 대해 자체 대책과 개선 노력을 더욱 강화해줄 것을 우선 기대한다”고 했다.





Source link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